n8n 구독료를 내지 않으면 바로 사용할 수 없음을 보고, 로컬설치와 클라우드 설치를 고려하게 되었습니다. 이 과정에서 필요한 비용적인 부분을 비교한 자료를 포스팅하려고 합니다.
개념 설명과 비용 비교표 , 그리고 마지막에는 고려해야할 단점을 다뤄보겠습니다.
1. n8n 클라우드 호스팅 vs 셀프 호스팅
n8n 클라우드 호스팅이라함은, 웹 브라우저를 통해서 워크플로우를 직접 설계/구동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. 자신이 구축한 워크플로우는 n8n회사의 서버내에 존재하게 되어, 언제 어디서나 접속해서 작업할 수 있습니다.
월 구독료 기준으로 20유료 입니다.
포스팅하는 시점 기준으로는 한화 31000원 정도 됩니다.
셀프호스팅은 자신의 워크플로우가 저장되고 구동되는 장소를 n8n 회사의 서버를 사용하지 않겠다는 의미로 이해하시면 됩니다. 그렇다면 선택지는 크게 두가지가 있습니다.
내 컴퓨터에 n8n 을 설치해서 모든 정보 저장과 구동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과, 클라우드 서버라는 다른 장소에 컴퓨터를 임대받아 사용하는 것입니다.
설치 방법을 알고싶다 하시는 분들은 'n8n 로컬 설치' 또는 'n8n 로컬 세팅 ' + 방법 이라는 키워드를 조합해서 검색해보세요.
자 비용은 간단하게도, 내 컴퓨터에 설치하는 경우 모두 부료입니다. 위에 docker(도커)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만, 이 역시 개인은 무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.
클라우드 서버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'임대'라는 개념이 있는데 중요한 정보가 들어가는 만큼 무료 클라우스 서비스는 권하지 않고(사실 찾기도 어려움) 유료 서비스를 이용하게 됩니다.
이 경우에 클라우드서버(원격 컴퓨터)의 세팅과 관리를 직접한다면, 임대료(클라우드서버 구독료)만 내면 됩니다.
만약 서버의 세팅과 관리를 도와주는 플랫폼을 사용하게되면 임대료+관리비 를 내는 구조가 됩니다.
2. 클라우드 서버 비교 (임대료 part)
비교 시에 임대할 컴퓨터(클라우드서버)의 스팩을 명시하였으므로, 조금 참고 보신다면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. 클라우드 서버를 선택할 때는 그 위치(리전)이 속도에 영향을 주므로 고려해주세요. (접속지에서 멀 수록 느려요)
n8n 기준, 더 비용이 발생한다면 제외 했습니다.
#호스팅사/플랜 월 요금 ≈ 포함 /트래픽/ SSD 용량 /한국 근접 리전 /특이사항
1 | Hetzner Cloud CX22 | € 3.79 ≈ ₩5 700 | 20 TB | 40 GB | ❌ (유럽·미국) | 파격 단가·20 TB 넉넉한 트래픽 (hetzner.com) |
2 | OVHcloud VPS Essential | US $ 10.62 ≈ ₩14 300 | 무제한* 0.5 Gbps | 40 – 160 GB | ❌ (싱가포르·시드니) | 2 vCore·4 GB 최저가권 (OVHcloud) |
3 | Scaleway DEV1‑M | € 14.45 ≈ ₩21 700 | 300 Mbps, 1 0 TB | 40 GB | ❌ (파리·암스테르담·바르샤바) | 3 vCPU로 CPU 살짝 여유 (Scaleway) |
4 | Vultr Cloud (2 vCPU/4 GB) | US $ 20 ≈ ₩27 000 | 3 TB | 80 GB | ✅ Seoul, Tokyo, SG | 서울 리전·시간당 빌링 (bloggingnote.com, blogs.vultr.com) |
5 | Oracle Cloud Ampere A1 (Always Free) | 0 | 10 TB* | 최대 200 GB | ✅ Seoul·Tokyo | 4 vCPU/24 GB 까지 무료 — ARM 64 기반 (Oracle Docs) |
n8n 셀프호스팅 단점.
- 서버 유지보수를 직접 해결해야합니다. 예를 들어 n8n에 버전이 업데이트 될 경우에 이 역시 직접 해야하는 수고로움이 필요합니다.
또한 설시하는 과정이나 운용중에 , 문제가 생겼을 경우에 직접 해결해야합니다. 보안 문제가 있을 수도 있구요. 로컬 -> 클라우드로 이사가실 때나 로컬 + 클라우드 혼합 운용으로 변경시에도 직접..
이 단점은 개인마다 그 크기가 다를 것입니다. 하지만 비개발자/초보자 이시더라도 셀프호스팅을 시도해보신다면 실력이 퀀텀으로 점프할 것이기 때문에 미리 포기할만한 것은 아니라고 봅니다.
요새는 참고할만한 가이드가 엄청 잘 나와있어요 .
궁금하신 것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.
센치한 주인장 사라짐. 휘리릭.
'개발로그 > 자동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n8n cloude 사용중일 때, 호출지의 ip 확인하는 코드 공유 (1) | 2025.07.11 |
---|---|
n8n 에서 내가 만든 GPT를 불러서 사용하기.AssistantID 를 이용한 'Message an Assistant' 설정 방법 (1) | 2025.07.03 |
n8n Supabase 로 데이터 insert할 때 주의점. (1) | 2025.06.17 |
n8n subpabase 초기설정 (가입,프로젝트,테이블생성) (1) | 2025.06.17 |
n8n RAG sysem에서 실제 운영 워크플로우 기준 Supabase vs Airtable 무엇을 선택할까? (0) | 2025.06.17 |
n8n에서 RAG system을 만드는 과정 중, openAI의 embeded 용 모델을 확인하는 방법 (1) | 2025.06.16 |
n8n Deactivate workflow to executeBecause of limitations in Telegram Trigger, n8n can't listen for test executions at the same time as listening for production ones (0) | 2025.06.12 |
글감을 읽어올 Google Sheets 준비하기 (0) | 2025.04.19 |
댓글